Panic Room Logo

K-Pop의 새로운 지평. K-Music 인큐베이팅 허브.

유행을 뛰어넘어 전 세계인의 다양한 취향에 닿을 새로운 음악 생태계,
패닉룸이 만들어갑니다.

K-Pop 시장의 성공과 한계

분명 K-Pop은 전례 없는 성공을 거두었지만,
이면에는 다양성 부재와 높은 투자 리스크 등 명확한 한계가 존재합니다.
이 섹션에서는 현재 시장의 명과 암을 데이터로 분석합니다.

IFPI 글로벌 아티스트 차트 Top 10 (2023)

세계 7위 시장 규모의 한국이 Top 10에
4팀의 아티스트를 배출시켜 그 영향력을 증명했습니다.

Top 10 아티스트 수

K-Pop 아티스트: 4

해외 아티스트: 6

IFPI 글로벌 앨범 세일즈 차트 (2023)

Top 10 중 9개의 앨범이 K-Pop 앨범입니다.
이로써 팬덤 기반의 피지컬 앨범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。

Top 10 앨범 수

K-Pop 앨범: 9

해외 앨범: 1

새로운 기회: K-Music의 잠재력

K-Pop 곁에서 이미 글로벌 팬덤을 구축하는 K-Music 뮤지션들이 있습니다.
이들은 체계적 지원 없이 자생적으로 성장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증명하고 있습니다.
이는 시스템이 갖춰졌을 때의 폭발적인 성장 잠재력을 시사합니다.

K-Pop vs K-Music: 스포티파이 월별 리스너

최상위 K-Pop 아이돌보다 더 많은 글로벌 리스너를 보유한
K-Music의 등장은 시장의 패러다임 변화를 예고합니다.

국내 주요 뮤지션 추정 매출

체계적인 시스템 없이 상당한 매출을 기록하는 뮤지션들.
이는 시스템이 갖춰졌을 때의 폭발적인 성장 잠재력을 시사합니다.
이들 중 같은 소속사 출신이 없다라는 건
아직 이들을 위한 육성 시스템이 부재하다는 것의 반증입니다.

* 최근 4년내 발매 된 주요 음원 스트리밍 데이터 기반 추정 매출
* 해외 콘서트 매출(집계 누락)을 포함할 경우, 순위에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.

K-Music의 새로운 무대: 뉴미디어와 SNS

주요 대중 매체 노출 기회가 부족한 K-Music은 SNS와 숏폼 플랫폼을 통해 먼저 전해집니다.
IFPI에 따르면 10대의 48%가 숏폼으로 새 음악을 발견하며,
이는 홍보를 넘어 실질적인 매출로도 이어지는 핵심 채널이 되었습니다.

패닉룸의 솔루션

패닉룸은 K-Music 시장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발굴, 육성, 데이터 분석을 결합한
3단계 혁신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.

패닉룸 부트캠프

단 2개월 만에 '프로'로 성장하는 실전형 프로그램입니다. 전속 계약 전, 음원 제작부터 팬덤 소통까지 전 과정을 경험하며 뮤지션의 역량과 시장 적합성을 함께 검증하고 우수 수료자에게는 데뷔 기회를 제공합니다。

핵심 커리큘럼

  • 1-3주차: 데모 업그레이드 및 히트곡 분석을 통한 기본기 강화
  • 4-5주차: A/B 버전 편곡 및 녹음 심화를 통한 음악적 정체성 확립
  • 6-7주차: 저예산 뮤직비디오 제작 및 SNS 브랜딩 전략 학습
  • 8-9주차: 쇼케이스, 발매 전략 수립 및 우수자 계약 진행

성장 비전 및 재무 전망

패닉룸은 낮은 비용과 높은 효율의 음악제작을 통해 기하급수적인 성장을 목표로 합니다.
아래 차트를 통해 연도별 IP 확보 계획과 자산 가치, 매출 성장 전망을 확인하세요.

5개년 IP 확보 로드맵 및 마스터권 가치 전망

K-Pop 아이돌 1팀 육성 비용(30~50억원) 이하로 5년간 1,120곡의 마스터권을 확보하고, 그 가치를 181.4억 원까지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。

장기 매출 성장 전망

음원 중심의 안정적 매출 기반 위에 공연, IP 부가 사업 등 다각화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룹니다. 이를 통해 2032년에는 270억원의 매출을 목표로 합니다. 아래 범례를 클릭하여 매출원별 비중 변화를 확인해 보세요。

주요 멤버

음악 프로듀싱, 교육, 마케팅 / 데이터 분석 및 금융 등
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들이 산업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비전을 현실로 만듭니다.

최찬영

최찬영

CEO / 총괄 PD

  • 닥터심슨컴퍼니 설립-누적 820여곡 제작
  • (사)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제6대 이사
  • 민사고 졸업, Penn State Univ. CS(휴학)
김준범

김준범

COO / 데이터 분석 및 카탈로그 관리

  • KAIST 수리과학 석사, 응용수학 학부
  • 키움증권 장외파생상품팀
  • KIST/TmaxSoft 통계, 머신러닝 소프트웨어 개발
김승재

김승재

어쿠스틱 & 엔지니어링 디렉터

  • 어쿠스틱 콜라보 리더, Sony ATV 전속 작곡가
  • 김필선, 유다빈밴드 등 발굴 및 프로듀싱
  • SM 아카데미, 미스틱 엔터테인먼트 출강
최보미

최보미

산학협력 & 크로스오버 디렉터

  • 11년차 실용음악과 교수-서울대/경희대 등
  • NYU Jazz Studies Master Degree
  • Blue Note NY 외 해외 무대 경험 다수
송승근

송승근

교육관리 & 보컬리스트 디렉터

  • (前)JYP 엔터테인먼트 전속 프로듀서
  • DAY6, MISS A, 백예린 등 보컬 디렉팅
  • 런던컬리지오브뮤직 졸업, KAIST MBA

패닉룸 비전 요약 영상

**해당 영상은 일부공개 영상으로 아래 링크로 직접 시청해주세요.**

유튜브에서 영상 시청하기

패닉룸 IR Deck 요청

더 상세한 내용이 궁금하신가요?
투자자용 IR Deck(Full)이 필요하시면 아래 버튼을 눌러 주세요. 감사합니다.

IR Deck 요청하기